본문 바로가기
미디어 정보와 지식

방송 및 언론인의 미디어 비평 윤리에 관하여

by media9 2022. 12. 6.

미디어 비평은 미디어 종사자들이 언론 윤리에 대한 고찰에서 시작합니다. 언론 윤리에 관한 논의는 다양한 의견이 있지만 기본적인 철학적 윤리적 개념에 대한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적용하는 것이 필수로 여겨집니다.

미디어 비평을 위한 기초

 

 

미디어 비평 기초에 관한 기본 정보는 아래 포스팅을 먼저 읽어 보시면 됩니다.

https://bit.ly/3uvo6Yi

 

미디어 비평의 기초

현대인들에게 미디어는 삶의 일부이며 정보와 지식의 원천이다. 게다가 현대에는 일반인들도 미디어 및 산물에 관심을 가지며 스스로 비평가로 생각하고 적극적으로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다.

goodinj.tistory.com

 

보통 미디어 방송 쪽에서 일하는 분들은 촌각을 다투는 일을 하느라 시간 압박을 상당히 받는 편입니다. 제한적 데이터 고충 문제도 있을 터이고요. 이런 빠듯한 일정과 업무 속에 처한 환경을 잘 알고 있는 메릴은 언론 윤리를 언론인들의 작업 수행 시 옳고 그름 그리고 최선 등의 논의를 다루는 것이라고 정의합니다. 정의 혹은 윤리와 관련된 의미는 주어지는 것이 아닌 배양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태세 전환 등 상황에 민감한 언론인들에게 유일무이한 윤리적 근거에만 의존하게 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 메릴은 언론인은 절대 선이 아닌 최고 선을 추구한다고 규정합니다. 그러다 보니 최고의 선이 왜곡되게 전개되는 경우도 종종 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두 가지 윤리 쟁점

자유주의적 시각

윤리적 시각에 대해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위 포스팅에서도 분류했듯이 자유주의적 시각과 공동체적 시각이 해당하는데요. 자유주의적 시각은 개인의 윤리적 발달을 중시합니다. 개인주의적 성향의 윤리적 흐름을 의미하며 다양한 세계관을 인정합니다. 그래서 보다 전체적이고 다양한 뉴스를 다룰 수 있습니다. 물론 경쟁과 능력도 중시합니다. 내부지향적이고 사회의 정보 전달자 역할을 하며 보편적 경쟁을 추구합니다. 그러다 보니 윤리를 거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미디어 윤리에 입각한 것보다 반미디어 전문주의를 지향합니다. 이와 비슷한 견해의 철학가를 찾는다면 노자, 소크라테스, 아리스토텔레스, 로크, 제퍼슨, 메릴, 밀, 소로, 카뮈, 야스퍼스, 등 다소 개인의 능력치를 중시하는 성향을 알 수 있습니다.

공동체주의적 시각

공동체주의적 시각은 개인보다는 사회, 동료, 조직 내에서 윤리를 찾으려 합니다. 개인의 이익보다는 공익에 부합되는 것을 보다 더 추구한다고 보면 될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개인의 자유는 제한되고 규범적 윤리 강령이 요구됩니다. 사심은 없지만 협력을 중시하고 비교적 긍정적이고 응집력있는 뉴스를 추구합니다. 보편적 유대를 중시하고 공동적 윤리에 동의합니다. 보편적, 법적 윤리, 미디어 전문주의적 경향이 있으며 공자, 플라톤, 마르크스, 센델, 크리스천스, 허친스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윤리 문제를 다루는 세가지 단계

윤리 문제를 다루는 세 가지 단계로 본능과 관습 그리고 양심이 있습니다. 먼저 올바른 행동이 개인의 근본적 욕구와 본능에서 나온다고 보고요. 그러다가 여러 집단의 관습에 따라 윤리가 결정되는 겁니다. 이는 플라톤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고 있고요. 이렇게 본능과 관습에 기초해서 양심으로 발전합니다. 이는 아리스토의 영향이라고 봅니다. 

메릴 윤리 이론의 세 가지 철학적 이론

의무론적 윤리 이론

이는 의무 개념을 중시하는 이론입니다. 그래서 결과보다는 의무 개념을 중시합니다. 일단 주어진 원칙을 철저히 따를 것을 강조합니다. 칸트의 정언 명령이 대표적입니다. 그리고 모든 사람을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다루어야 함을 중시합니다. 원칙 지향적이고 상당히 고지식한 편입니다.

목적론적 윤리 이론

목적론적 윤리 이론은 그야말로 목적 지향적입니다. 행위의 결과에 대한 배려를 중시합니다. 제러미 벤담이 대표적입니다. 공리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추구. 상대주의와 이기주의로 보일 수 있으며 선별적 이타주의에 사람 중심이라고 합니다.

개인적 혹은 주관적 윤리 이론

이는 비합리주의 전통에 기초합니다. 개인의 의지 및 실존적 의미에 중점을 두는 입장입니다. 키에르 케고르의 영향을 받은 듯하고요. 개인적 도덕률을 초월합니다. 교시의 원칙, 비합리적, 신, 직관적이며 양심, 본능, 혹은 정신적으로 동기 유발된 의지에 따라 자신의 윤리는 자신이 결정한다는 견해입니다. 자기 절제가 완벽하게 가능한 이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이론이지만 대다수 자기 절제와 이성이 바탕되기는 쉽지 않죠.

반응형

댓글